본문 바로가기
소방설비기사(전기)/소방원론

화재의 종류 및 감광계수와 가시거리

by 소방소방 2024. 2. 6.

오늘은 소방설비기사 전기 부분에서 자주 나오는 화재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나무화재이며 일반화재를 뜻한다
일반화재를 의미하며 나무가 불타고 있는 모습

화재의 종류

소방원론 부분에서 자주 나오는 부분으로 나오는 화재의 종류입니다.

화재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A급(일반화재)으로 백색을 띄며 목재와 같은 일반가연물에 의한 화재를 의미합니다.

둘째, B급(유류화재)으로 황색을 띄며 유류와 같은 가연성 액체와 가연성 가스에 의한 화재를 의미합니다.

셋째, C급(전기화재)으로 청색을 띄며 전기설비에 의한 화재를 의미합니다.

넷째, D급(금속화재)으로 무색을 띄며 가연성 금속에 의한 화재를 의미합니다.

다섯째, K급(주방화재)으로 식용유화재와 같은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시험은 어떤 물질들을 제시한 뒤 어떤 화재에 해당하는지 묻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한번씩은 꼭 익히고 가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감광계수와 가시거리

다음으로 감광계수와 가시거리 관련 내용입니다.

시험 문제는 주로 감광계수가 주어지고 가시거리는 몇인지 묻는 경우와 그 내용들에 관한 문제입니다. 감광계수와 가시거리에 의한 숫자를 헷갈리지 않는게 포인트 입니다.

 

감광계수가 0.1미터 마이너스1제곱일 때 가시거리는 20~30미터 입니다.

이렇게 글로 적으면 많이 헷갈리실 것 같아 쭉 나열해보겠습니다.

앞이 감광계수이고 뒤가 가시거리 입니다.

 

(1) 0.1 일 때 20~30m

(2) 0.3 일 때 5m
(3) 0.5 일 때 3m
(4) 1 일 때 1~2m
(5) 10 일 때 0.2~0.5m
(6) 30 일 때 없음

 

제가 무엇을 적은 것일까요? 제가 적은 것은 바로 (1)번을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감광계수가 0.1 일때 가시거리는 20~30m라는 것입니다.

숫자를 바꿔서 내는 문제가 나오면 은근히 헷갈릴 수도 있으니 정확히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적은 이유도 뒤에 내용까지 적게되면 더 헷갈릴 수도 있기 때문에 일단 숫자 정리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그럼 하나하나 설명해 보겠습니다.

 

(1)번의 경우는 연기감지기가 작동하기 직전의 농도를 의미합니다. 감광계수 자체가 연기의 농도에 따른 빛의 투과량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연기가 발생하게 되면 (1)의 경우라 할 수 있습니다.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0.1일 때 20~30m

(2)번의 경우는 건물 내부에 익숙한 사람이 피난에 지장을 느낄 정도의 농도로 0.3일 때 5m 입니다.

(3)번의 경우는 어두운 것을 느낄정도의 농도로 연기가 꽤나 진행된 정도입니다. 0.5일 때 3m 입니다.

(4)번의 경우는 앞이 거의 보이지 않을 정도의 농도로 1일 때 1~2m입니다.

(5)번의 경우는 화재 최성기 때의 농도로 우리가 드라마에서 흔히 보는 불이 활활 타오를 때 입니다. 10일 때 0.2~0.5m입니다.

(6)번의 경우는 출화실에서 연기가 분출할 때의 농도로 앞이 보이지 않습니다. 

 

네 오늘은 화재의 종류 및 감광계수와 가시거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최근에도 자주 나왔던 문제로 단골 출제되니 내용을 꼭 정확히 기억하시어 문제를 푸는데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문제 뿐만 아니라 알아두면 도움이 될 내용이니 혹시나 관련 내용을 찾은 분들께도 도움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