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설비기사(전기)/소방원론3

가연물이 연소하기 쉬운 조건 및 분말 소화약제 오늘은 가연물이 연소하기 쉬운 조건과 분말소화약제에 대한 내용을 다뤄보겠습니다. 1. 가연물이 연소하기 쉬운 조건 소방원론 문제 중에서 자주 출제되는 문제로 꼭 알아둬야 할 문제입니다. 크게 헷갈릴 부분은 없으나 다양한 특징들이 있기 때문에 제대로 외워두어야 합니다. 가연물이 연소하기 쉬운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산소와 친화력이 커야합니다. 둘째, 발열량이 커야 합니다. 당연히 열이 많이 나야 연소하기 좋습니다. 셋째, 표면적이 넓어야 합니다. 표면적이 좁으면 연소가 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넷째, 열전도율이 적어야 합니다. 열 전도율은 말 그대로 열을 전달하는 정도로 열을 쉽게 전달한다면 연소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을 것입니다. 다섯째, 활성화에너지가 작아야 합니다. 활성화 에너지는 최소한의 에.. 2024. 2. 6.
화재의 종류 및 감광계수와 가시거리 오늘은 소방설비기사 전기 부분에서 자주 나오는 화재의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화재의 종류 소방원론 부분에서 자주 나오는 부분으로 나오는 화재의 종류입니다. 화재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A급(일반화재)으로 백색을 띄며 목재와 같은 일반가연물에 의한 화재를 의미합니다. 둘째, B급(유류화재)으로 황색을 띄며 유류와 같은 가연성 액체와 가연성 가스에 의한 화재를 의미합니다. 셋째, C급(전기화재)으로 청색을 띄며 전기설비에 의한 화재를 의미합니다. 넷째, D급(금속화재)으로 무색을 띄며 가연성 금속에 의한 화재를 의미합니다. 다섯째, K급(주방화재)으로 식용유화재와 같은 것을 의미합니다. 주로 시험은 어떤 물질들을 제시한 뒤 어떤 화재에 해당하는지 묻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한번씩은 꼭 익히고.. 2024. 2. 6.
화재의 정의와 화재의 발생 현황 소방설비기사 전기파트에서 나올 수 있을만한 꽤나 자주 출제되는 문제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화재의 정의와 화재의 발생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화재의 정의 화재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자연 또는 인위적인 원인에 의하여 불이 물체를 연소 시키고, 인명과 재산에 손해를 주는 현상 둘째, 불이 그 사용목적을 넘어 다른 곳으로 연소하여 사람들에게 예기치 않은 경제상의 손해를 발생시키는 현상 셋째, 사람의 의도에 반하여 출화 또는 방화에 의하여 불이 발생하고 확대하는 현상 넷째, 불을 사용하는 사람의 부주의와 불안정한 상태에서 발생되는 것 다섯째, 실화, 방화로 발생하는 연소현상을 말하며 사람에게 유익하지 못한 해로운 불 여섯째, 사람의 의사에 반한, 즉 대부분의 사람이 원치 않.. 2024. 1.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