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기사 전기파트에서 나올 수 있을만한 꽤나 자주 출제되는 문제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화재의 정의와 화재의 발생 현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화재의 정의
화재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자연 또는 인위적인 원인에 의하여 불이 물체를 연소 시키고, 인명과 재산에 손해를 주는 현상
둘째, 불이 그 사용목적을 넘어 다른 곳으로 연소하여 사람들에게 예기치 않은 경제상의 손해를 발생시키는 현상
셋째, 사람의 의도에 반하여 출화 또는 방화에 의하여 불이 발생하고 확대하는 현상
넷째, 불을 사용하는 사람의 부주의와 불안정한 상태에서 발생되는 것
다섯째, 실화, 방화로 발생하는 연소현상을 말하며 사람에게 유익하지 못한 해로운 불
여섯째, 사람의 의사에 반한, 즉 대부분의 사람이 원치 않는 상태의 불
일곱째, 소화의 필요성이 있는 불
여덟째, 소화에 효과가 있는 어떤물건(소화시설)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는 불
화재의 정의에 관한 문제는 다양하게 출제될 수 있을 것 같으며, 충분히 문제를 헷갈리게 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보기 전체가 화재와 관련하여 모두 다 정답이 될 수 있으나 화재의 정의와는 무관한 내용들로 출제가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화재의 발생현황
다음으로 화재의 발생현황은 각 요인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첫째, 발화요인별 요인입니다.
발화요인별로는 부주의가 가장 많고 다음으로는 전기적 요인, 기계적 요인, 화학적 요인, 교통사고, 방화의심, 방화, 자연적 요인, 가스누출 등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가스누출이 맨 뒤에 나온 것이 의문이긴 했지만 한편으로는 가스누출로 인한 발화가 많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안도를 했습니다.
둘째, 장소별입니다.
장소별로는 근린생활시설, 공동주택, 공장 및 창고, 복합건축물, 업무시설, 숙박시설, 교육연구시설 입니다.
아무래도 여러 상가들이 입점해 있는 근린생활시설에서 가장 많이 화재가 나는 것으로 보이며, 흔히들 아파트로 부르는 공동주택이 그 다음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셋째, 계절별입니다.
계절별로는 겨울, 봄, 가을, 여름 순으로 나타납니다.
겨울에서 봄으로 넘어가는 시점에서 항상 화재가 발생했던 것으로 기억됩니다. 건조한 환경에서 요즘은 다양한 원인으로 불씨가 큰 화재를 만들기도 하니 항상 주의를 해야겠습니다.
화재의 발생현황과 관련하여 나올 문제 유형은 요인별 가장 많이 일어나는 발화요인이 나올 수 있고, 발화요인과 전혀 관계가 없는 보기가 나올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관련 내용 팁으로 화재의 특성으로는 우발성과 확대성, 불안정성을 나타내며 화재라는 것을 생각했을 때 가장 잘 나타낸 특성이 아닐까 싶습니다.
네 오늘은 소방원론에서 자주 나올법한 내용 제 1탄 화재의 정의와 화재의 발생현황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다음에도 도움이 될만한 내용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소방설비기사(전기) > 소방원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연물이 연소하기 쉬운 조건 및 분말 소화약제 (0) | 2024.02.06 |
---|---|
화재의 종류 및 감광계수와 가시거리 (2) | 2024.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