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설비기사(전기)/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누전 경보기 관련 문제

by 소방소방 2024. 2. 22.

누전 경보기의 모습
누전경보기

오늘은 소방설비기사 전기 파트 제4과목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에서 자주 나오는 누전 경보기에 대해서 다뤄 보겠습니다.

누전 경보기 관련 문제는 23년도 기출에서도 많이 다뤄진 만큼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1. 공칭 작동 전류치와 감도 조정 장치의 조정범위

첫번째로 공칭 작동 전류치와 감도 조정 장치의 조정 범위 관련 문제입니다.

먼저 누전 경보기의 공칭 작동 전류치는 200mA이하이고 감도 조정 장치의 조정범위는 1A 이하 입니다.

문제의 경우는 누전 경보기의 공칭 작동 전류치는 몇 mA 이하여야 하는가? 와 같은 단순한 문제들과 mA를 A로 환산하는 부분의 문제도 나옵니다. 

그러니 헷갈리지 않고 문제를 파악해야합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문제: 누전경보기에서 감도조정장치의 조정범위는 최대 몇 mA인가? 

4가지 보기가 주어집니다. 보기 1번은1, 보기 2번은 20 보기 3번은 1000입니다. 여기서 함정이 생기는데 아무 생각없이 1로만 외웠다면 당연히 1을 선택할 것입니다. 항상 1A로 외웠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mA 단위로 답을 물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1이 아닌 1000을 선택해야합니다. 이런 것들을 항상 유의하면서 문제를 푸셔야 합니다.

 

참고사항으로 검출누설전류 설정치 범위로는 경계전로는 100~400mA, 중성점 접지선은 400~700mA 입니다. 

사실 참고사항까지 익힐 필요는 없는게 소방설비기사는 기출문제 위주로 파악하는게 젤 좋은 것 같습니다. 비슷한 문제들이 주로 나오고 비슷한 폼에서 조금조금씩 변경되는거라 문제를 눈에 익히는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2. 누전 경보기의 설치방법

 

두번째로 누전경보기의 설치방법 입니다.

60A를 초과하는 경우 1급 눈전 경보기를 설치하면 되고 60A 이하일 경우에는 1급 OR 2급 누전 경보기를 설치하면 됩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변류기는 옥외 인입선의 제1지점의 부하측 또는 제 2종 접지선측의 점검이 쉬운 위치에 설치해야 합니다.

* 옥외전로에 설치하는 변류기는 옥외형으로 설치해야 합니다.

* 각 극에 개폐기 및 15A 이하의 과전류 차단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배선용 차단기는 20A 이하입니다.

 

자주 나오는 문제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누전 경보기 설치 방법 및 전원 기준으로 틀린 것은?

그리고 보기에 앞에서 말한 내용들로 장난을 쳐 놓습니다.

각 극 개폐기 및 20A 이하의 과전류치단기를 설치할 것 이라는 보기를 내 놓으면서 오답을 유도합니다.

정답은 20A가 아닌 15A 입니다. 

비슷한 내용으로 변류기는 옥외 인입선 제1지점의 전원측에 설치한다 라는 보기가 있습니다.

여기서 틀린점은 전원 측이 아닌 부하측 입니다.

사실 내용을 한번이라도 보지 않았다면 당연히 틀릴 부분들입니다.

그렇다고 이 내용들을 달달 외울 필요는 없습니다. 문제들을 보면서 보기에 익숙해지고 틀릴만한 숫자들만 확인해주면 됩니다. 그리고 반복학습을 한다면 약간의 변화만 생겨도 이상한 낌새를 눈치챌 것입니다.

 

오늘은 누전경보기 관련 문제들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포스팅이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